• [GitHub] a lock file already exists in the repository, which blocks this operation from completing.

    [GitHub] a lock file already exists in the repository, which blocks this operation from completing.

    a lock file already exists in the repository, which blocks this operation from completing. Git_Hub :: 갑자기 커밋이나 푸쉬 풀 안되고 이러한 메세지 뜰경우 해결방법 1. 일단 뭔가 부딪히는 현상같은거니 lock파일 삭제 걍 해야함! 2. 커밋이든 뭐든 하려는 해당 폴더로 직접 이동 3. 해당 폴더에서 우클릭 - here git bash 로 들어간다. 4. 해당 명령어를 작성해서 lock파일을 그냥 지워버린다. \ rm -rf ./.git/index.lock 5. git desktop 이거나 vs라면 한번 껏다 킨다. 6. 정상 가동되고, 부딫히는 파일은 desktop같은 경우 물어봐준다. 그 중 내가 원하는 방법을 선택하면 ..

  • Defaultdict, dict  sort  딕셔너리 정렬방법

    Defaultdict, dict sort 딕셔너리 정렬방법

    sorted(dict) 을 하게 되면 해당 딕셔너리의 키값들만 가져와서 정렬해준다. test = {'yellow': [1, 3], 'blue': [2, 4], 'red': [1]} print(test) print(sorted(test)) print(sorted(test.items())) print(dict(sorted(test.items()))) >>> {'yellow': [1, 3], 'blue': [2, 4], 'red': [1]} >>> ['blue', 'red', 'yellow'] >>> [('blue', [2, 4]), ('red', [1]), ('yellow', [1, 3])] >>> {'blue': [2, 4], 'red': [1], 'yellow': [1, 3]} 키를 기준으로 딕셔너리를 ..

  • Drone :: #03 >> 드론 코딩 - 코드론 미니 체험기

    Drone :: #03 >> 드론 코딩 - 코드론 미니 체험기

    2. 스크래치를 통한 코딩 드론 1)설치 및 실행 설치가이드는 이전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. 먼저 설치된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열어줍니다. exe실행파일을 들어가줍니다. 실행파일을 누르면 ,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. 다른 기기들도 선택이 가능하지만, 코드론 미니를 골라서 SELECT 버튼을 눌러줍니다. 선택을 해주면, 이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. 어린이들도 할 수 있는 스크래치? 기반의 프로그램인듯 하네요. 사용법은 간단히 왼쪽의 것들을 스크립트 란에 끌어서 높으면 됩니다. 참고로, 최초화면은 영어로 되어있을 수 있는데, 나사 모양을 선택하셔서 언어선택을 한글로 바꿔주면 한글로 볼 수 있답니다. 이 부분을 통해서 코드론 미니를 통제합니다. 더 자세한 사항은 저도 직접 해보고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. 간단..

  • [Visual Studio 2022] 단축키 모음

    [Visual Studio 2022] 단축키 모음

    Visual Studio 단축키 모음 CTRL / ALT / SHIFT / ENTER / SPACE / ALT +SHIFT + . OR , 글자 크기 확대 OR 축소 SHIFT + ESC 띄운 창 닫기 CTRL +SHIFT + A 새로운 파일 생성 CTRL +SHIFT + A 직접 단축키 설정하기 도구 -> 옵션 -> 키보드 -> 원하는 기능 단축키 설정

  • [Visual Studio] 명령 창 설정 모음

    [Visual Studio] 명령 창 설정 모음

    VScode Console Settings ☠ 기본 콘솔창을 바꾸고 싶을 때. 예를 들어, vs에서 깃허브 배쉬를 사용한 후, 파이썬 공부를 위해 콘솔창이 바뀌어야 하는데, 매번 실행시 깃허브 배쉬가 떠서 막히는 경우 이렇게 하면된다. ( 이 외의 상황에서도 콘솔창의 종류를 바꾸고 싶다면 이렇게 하면된다.) File - Preference - Setting :: Ctrl + , 를 눌러준다. User단에서 Features 부분으로 이동한다. Features 안에 Terminal 부분으로 이동한다. 쭈욱 내리다 보면, Integrated>Automation Shell: Windows 라는 부분을 들어간다. 물론, Edit in settings.json을 클릭한다는 의미이다. 그 안에는 이러한 속성값들이 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