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reenhelix
greenhelix
greenhelix
09-27 12:26
  • All (229)
    • Algorithm (118)
      • Algorithm (17)
      • Graph (0)
      • Core (6)
      • Python (18)
      • PythonSnippet (4)
      • Java (59)
      • Kotlin (14)
    • Project (0)
    • Study (8)
      • License (5)
      • EIP (3)
    • Programming (63)
      • Android (41)
      • Flutter (1)
      • Bugs Life (21)
      • Linux (0)
    • Tech (32)
      • Tech (17)
      • Drone (4)
      • Hacking (11)
    • Life (6)
      • INGRESS (1)
      • 심시티빌드잇 (0)
250x250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greenhelix
카테고리 없음

Xml 화면 픽셀 밀도

Xml 화면 픽셀 밀도
카테고리 없음

Xml 화면 픽셀 밀도

2021. 7. 14. 16:23

Xml 

 

margin    : 뷰 밖의 여백 / 다른 뷰와의 간격

padding  : 뷰 안의 여백 / 뷰 안의 콘텐츠 간의 간격

 

px : pixel의 줄임말

화면밀도와 무관하게 1pixel = 화면의 1pixel, 권장하지 않음.

 

dp : density-independent-pixel 밀도 독립적 픽셀

1dp는 항상 장치 화면의 1/160 인치이며, 화면 밀도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 가진다. 

 

sp : scale-independent-pixel 크기 독립적 픽셀 

sp는 사용자의 폰트 크기 선택도 고려한 dp이다. 주로 화면에 나오는 텍스트 크기를 설정하기 위해 sp를 사용한다. 

 

주로 dp, sp 를 사용한다. 

 

마진 과 패딩 속성 ?

마진 속성은 레이아웃 매개변수이며 위젯들 간의 간격을 결정한다. 따라서 위젯 자신은 마진을 알 수 없고, 당연히 해당 위젯의 부모가 마진을 처리해야한다. 

 

패딩 속성은 레이아웃 매개변수가 아니다. 패딩은 위젯이 갖고 있는 콘텐츠보다 자신이 얼마나 더 커야 하는지를 나타내며, android:padding 속성으로 알려준다.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(새창열림)
    greenhelix
    greenhelix
    개발에 관한 것들과 개인적인 것을 담는 블로그

    티스토리툴바

    단축키

    내 블로그

    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    Q
    Q
    새 글 쓰기
    W
    W

    블로그 게시글

    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    E
    E
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
    C
    C

    모든 영역

 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
    S
    S
    맨 위로 이동
    T
    T
    티스토리 홈 이동
    H
    H
    단축키 안내
    Shift + /
    ⇧ + /

    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